Holding the Dry Fire 마른불을 껴안고
2024년 3월, 경북 청송의 고향집이 산불로 전소되었다.
불탄 집의 사진을 서울로 향하는 기차 안에서 받았고, 낯선 도시로 들어가는 그 길 위에서 나는 울 수 없었다. 그 집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타이타닉을 보던 추석의 밤, 아궁이 불 앞에서 이불을 걷어차던 감각, 장롱 속 먼지 냄새 같은 기억의 집합이었다. 불은 그 모든 시간을 태웠고, 사라졌다는 감각보다도 남아 있다는 감정이 더 오래 남았다. 이 작품은 불이 지나간 자리에서 비로소 껴안을 수 있게 된 감정과 기억의 물성에 대한 기록이다.
마른 불을 껴안고 _ Holding the Dry Fire
2024년 3월, 경북 청송의 덕천마을. 산불로 고향집이 전소되었다는 아버지의 사진 한 장을 기차 안에서 받았다.
서울로 향하던 KTX 안, 낯선 도시로 들어가는 길 위에서 나는 울 수 없었다. 내가 기억하는 집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불은 물리적 공간만을 태운 것이 아니었다. 그 안에는 오래전 타이타닉을 보던 추석의 밤, 문풍지를 뚫고 들여다보던 아이의 호기심,
아궁이의 열기, 장롱 속 먼지 냄새까지 모든 감각과 시간이 함께 타고 있었다. 이 전시는 기억과 감정이 소멸된 자리에서 무엇이 남는가를 묻는다.
불은 빠르게 모든 것을 가져갔지만,
남은 감정은 오히려 더 오래, 더 조용히 타올랐다.
‘불을 껴안는다’는 행위는, 사라진 것을 애도하고 남아 있는 감정과 흔적들을 온전히 마주하는 일이다.
기억의 단편들, 감각의 잔상, 그리고 말하지 못한 감정의 구조물을 텍스트와 오브제, 천, 타이포그래피 등의 매체로 재구성한다.
상실 이후의 정적을, 조용히 감각할 수 있는 공간을 지향한다.
사라지는 것들을 그냥 흘려보내지 않고 붙잡고 싶어 하는 사람,
기억을 감각화하고 형태화하려는 사람,
속도보다는 깊이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디자인을
지속하고 싶은 사람과 연결되고 싶다.
불에 타 사라진 고향집, 울지 못한 채
지나온 시간.
타오름의 끝에서
남은 것은 기억과 감정의 잔열이었다.
“디자인은 무엇을 남기는가”라는 질문에 더 자주, 더 가까이서 마주하게 되었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작업한다는 건 단지 위치의 문제가 아니라, 사라지는 것을 오래 바라보고, 그것을 붙드는 방식 자체가 달라지는 경험이었다. 이 작업은 단지 개인적인 애도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기억을 물질화하고 감각화하는 시도로 이어졌으며, 작은 마을에서 디자인을 한다는 선택이 결국 내 시선과 표현 방식을 결정지었다.